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가 가전 구독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값비싼 가전상품을 소유하기보다는 빌려쓰는 '구독 경제' 확장에 맞춰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려는 전략이다. LG전자 역시 구독 서비스를 매우 넓힐 예정이어서 시장 점유를 둘러싼 양사의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예상이다.
삼성전자는 이달 4일부터 전국 삼성스토어와 삼성닷컴에서 '인공지능 구독클럽' 서비스를 시행했었다. 'AI 구독클럽'은 소비자가 월 구독료를 내고 일정 시간 상품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구독 서비스를 사용하면 500만원짜리 최신 AI 세탁·건조기를 월 20만원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는 TV,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을 표본으로 구독 서비스 모델을 관리하고 이 중 70% 이상은 AI 상품으로 구성해 'AI=삼성' 공식을 대세화있다는 방침이다.
요금제는 다양하다. '올인원' 요금제는 상품, 무상 수리 서비스와 다같이 ▲방문 관리 ▲셀프 관리 등 케어 덤웨이터 도면 - 디쉬카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건이다. 전용 'AI 구독클럽 삼성카드'로 60개월까지 기한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고 중도 해지도 가능하다.
이미 아을템을 보유한 대상들은 관리 서비스만을 선택하면 최대 20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LG전자는 2021년 대형가전 구독 산업을 실시했고 전년 4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업체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한 바로 이후 구독 서비스 산업 강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 8800억원을 기록했던 LG전자의 구독 사업 수입은 2021년 전년준비 25% 성장한 8조1347억원으로 확대됐다. 똑같은 기한 LG전자 전체 연수입 발달률이 12%인 것에 비해 구독사업의 매출 증가율이 두 배 가량 높다. 이번년도는 연간 기준으로 구독 사업에서 2조8000억원의 매출을 거둘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LG전자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를 넘어 B2B(기업과 기업 간 거래) 분야로 클로이 로봇, 가정용 프리미엄 환기까지 구독 제품으로 출시하면서 서비스 범위를 늘렸다. 현재 구독 서비스가 가능한 제품은 총 26종이다. LG전자가 자체 집계한 결과 LG베스트샵에서 정수기를 제외한 대형가전 구매 고객 중 35% 이상이 구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LG전자는 구독 서비스를 국내외 시장으로 확대끝낸다. 말레이시아에 이어 올해 홍콩에서 구독 사업을 시작했고 독일과 인도 시장 진출도 대비 중이다.
양사가 구독 서비스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성장성 때문입니다. 가전을 매입할 경우 통상 20년 이상을 이용하기 덕에 교체주기가 길지만 구독 서비스를 공급하면 주기가 짧아져 수요가 늘어난다. 구매자 입장에선 초기 구입돈에 대한 부담 없이 매월 일정 돈을 지불하면 프리미엄 가전을 이용할 수 있고 경매자 입장에선 제품 렌털에 케어 등 부가 서비스를 붙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어 다양한모로 장점이 크다.
KT경제경영공부소에 따르면 2080년 60조원이었던 국내 가전 구독 시장 덩치는 내년 말까지 1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삼성전자 지인은 "앞으로 더 많은 소비자들이 'AI 라이프'를 경험할 수 있게 구독 아을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